-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내몸에 이롭게 2019. 2. 23. 23:29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증상, 검사, 치료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 은 아래와 같다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 증상이 있다
기운이 없다
근육 경련과 강직현상이 나타난다
지속적으로 피곤한 느낌이 있다
변비가 나타난다
추위에 비정상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한다
식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증가한다.
피부와 모발의 건조해진다
탈모가 나타난다
허스키한 목소리가 되거나 목이 쉰다
심박수가 저하된다.
갑상신기능저하증의 증상은 위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갑상선호르몬은 열과 에너지의 생성에 필수적이므로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한 경우 온몸의 대사기능이 저하됩니다.
쉽게 피로하며 의욕이 없고 정신집중이 잘 안 되며 기억력이 감퇴된다.
추위를 잘 타게 되며 땀이 잘 나지 않고 피부는 건조하며 창백하고 누렇게 됩니다.
목소리가 쉬며 말이 느려지고 위와장의 운동이 저하되어 먹은 것이소화가 잘되지 않으며 심하면 변비가 생긴다. 얼굴과 손과 발이 붓고 식욕이 없어 잘 먹지 않는데도 몸이 붓게되며 체중이 증가한다. 팔다리가 쑤시고 저리며 근육이 단다하게 되며 근육통이 나타난다. 여자에서는 흔히 생리양이 는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나타나는 붓기 (부종)은 특징적으로 손가락으로 눌러도 들어가는 자리가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다른 질환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한 경우가 많고 대부분의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오랜 시간에 걸쳐 매우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적응이 되어 스스로 자각증상을 뚜렷이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어 단지 검사결과로만 알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나이가 많은 고령의 여성에게 압도적으로 많고, 겨울에 발병하기 쉬으며 사망률도 높은 질환이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원인
갑상선 호르몬이 체내에 부족하게 되는 원인은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와 뇌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생겨서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 로 나눌 수 있다.
원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95% 이상이 원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이이다.
원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원인 중 70-85%는 자가면역성 만성 갑상선염인 하시모토 갑산선염에 의해 발생한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자가면역성 갑상선염)시 갑상선 자체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이 줄어든다. 그 외 수술이나 방사성 요드 등의 치료로 갑상선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절제했거나 파괴시킨 경우에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생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의 장애가 속한다.
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다음과 같은 질환이 원인이 된다
-원인 불명의 갑상선 기능 저하
-만성 림프구성(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산후 갑상선
-갑상선염
-약제 유발 갑상선기능 저하
이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부신 이상으로 초래되는 이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 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원인이 관련되어 있다.
-갑상선호르몬 자극 호르몬(TRH) 내성
-갑상선호르몬 자극 호르몬(TRH) 결핍
-부신선종
-뇌하수체 종양
-림푸구성 뇌하수체염
-쉬한증후군
-뇌, 부신 방사선조사 기왕력
-약물 복용
뇌하수체에 기능 저하증이 있는 경우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이차성), 시상하부의 장애가 있는 경우 갑상선 방출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되고 있는 경우도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포함된다. 일. 갑상선 호르몬은 분비되고 있지만, 말초 조직 쪽에서의 반응이 낮은 것을 가리킨다.
신생아기부터 갑상선 호르몬의 결핍이 일어나는 경우 Cretinism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이라고 하는 경우는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가리킨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진단
촉진을 통해 갑상선 결절의 크기, 촉감, 대칭성 등을 관찰하고 피부, 모발, 심장 그리고 복부 등에서 갑상선기증저하증으로 인한 소견이 있는지 확인한 후에 혈중 갑상선호르몬 농도와 갑상선자극호르몬 농도 측정을 통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진단할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의심되면, 혈액검사를 통해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갑상선 호르몬(T4 또는 T3)의 농도가 정상보다 낮게 측정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이 정상보다 높으면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진단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치료
부족한 갑상선 호르몬을 적절하게 보충하여 혈액 내 정상적인 갑상선 호르몬 수치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1. 갑상선 호르몬의 복용
원인에 따라서는 평생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도 마음대로 치료를 중단하면 안된다. 모자란 갑상선 호르몬을 약제로 보충한다. 갑상선 호르몬 복용 중에는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하여 적절하게 치료되고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특히 임신 중에는 갑상선 호르몬의 필요량이 증가할 수 있어 혈액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2. 생활 습관 조절
요오드 섭취가 부족한 경우 요오드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섭취한다. 체중 조절을 위해 열량을 조절하여 섭취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치료를 하지 않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 심장질환, 의식불명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 치료로는 보통 일정량의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해야 한다. 하루에 한번 일정량을 복용하면 되기 때문에 치료 자체는 단순하다.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이 만들어 내는 호르몬으로 단지 양이 부족해서 보충하는 것이므로 약물복용에 따르는 부작용은 없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약을 복용하는 기간은 발생 원인에 따라서 다르다. 수술로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나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치료 목적으로 방사성 요드를 투여해서 발생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경우에는 갑상선기능이 회복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을 평생 복용해야 한다.
'내몸에 이롭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비스커스 효능과 효과 부작용 (섭취시 주의사항) (0) 2019.02.24 페퍼민트차 효능과 효과 섭취시주의사항 (0) 2019.02.24 캐모마일 효능과 활용방법 (0) 2019.02.24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과 원인 치료법 (0) 2019.02.21 두통에 좋은 음식 VS 두통에 나쁜음식 (0) 2019.02.20